[이준형의 클래식순례] 모차르트 <미사 C단조>

(가톨릭신문)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선종에 전 세계가 슬퍼하고 있습니다. 교황님은 인간을 향한 연민과 사랑을 품은 분이었고, 음악과 문학, 영화 등 예술을 깊이 이해한 분이었습니다. ‘위대한 예술가는 비극적이고 고통스러운 삶의 진실을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라고 말씀하기도 했지요.


클래식 음악을 향한 그분의 사랑은 어린 시절 부모님에게서 물려받은 것 같습니다. 교황님의 어머니는 토요일 오후 2시면 라디오에서 틀어주는 오페라 공연을 들려주었다고 합니다. 언젠가 인터뷰에서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를 예로 들면서 희망에 관해 말씀한 적이 있었는데,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로마에는 추기경 시절부터 자주 방문한 단골 음반점도 있는데, 교황이 되신 후에도 한 번 들러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교황님이 가장 좋아한 작곡가는 모차르트, 바흐, 베토벤, 바그너였습니다. 그중에서도 모차르트를 가장 사랑했는데, 특히 모차르트의 C단조 미사를 가리켜 듣는 이를 하느님께로 이끄는 음악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래서 교황님은 2014년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집전한 주님 성탄 대축일 미사에 이스라엘 출신 소프라노 가수 첸 라이스를 초청해서 C단조 미사의 신앙 고백 중 ‘성령으로 인하여(Et incarnatus est)’를 부르도록 했습니다. 라이스는 며칠 전 SNS에 교황님의 선종을 추모하는 글을 올렸는데, 연주 후 교황님이 보낸 편지가 마치 지휘자가 쓴 것처럼 전문적인 내용으로 음악을 논했다고 회고했습니다.



흔히 ‘대미사’로 불리는 미사 C단조는 모차르트에게 여러모로 의미가 큰 작품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내 콘스탄체의 건강한 출산을 빌고, 또 자기 뜻대로 고향을 떠나고 결혼하면서 생긴 아버지와의 앙금을 털고 가족과 화해하려는 뜻도 담은 작품이었습니다. 그래서 1783년에 결혼 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고향 잘츠부르크를 방문했을 때 그곳에 있는 성 베드로 수도원에서 초연했는데, 콘스탄체가 독창 소프라노를 노래했다고 합니다.


그런가 하면 음악적으로는 빈으로 이주한 뒤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 바로크 시대의 거장들, 특히 바흐와 헨델에게서 받은 영향과 영감을 담은 작품입니다. 바흐와 헨델 음악을 연구하면서 모차르트는 자신의 음악에 바로크적이고 대위법적인 음악 언어를 결합했고, 그 결과 단순한 인용이나 표현의 확장을 넘어선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었습니다.


가령 미사곡에서 폴리포니적이면서 중음역에서 중후한 음향을 내는 합창 파트는 명백히 헨델을 가리킵니다. 그런 의미에서 비록 미완성으로 그치기는 했지만, C단조 미사는 어린 시절 잘츠부르크에서 쓴 이탈리아풍의 교회 음악과 생애 마지막 해에 나온 레퀴엠과 ‘아베 베룸 코르푸스’를 이어주는 가교라고 할 수 있고, 더 넓게 보면 바흐의 B단조 미사와 베토벤의 장엄미사를 이어준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글 _ 이준형 프란치스코(음악평론가)